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singular vector decomposition
- 텐서
- retatin
- CORS
- nonatomic
-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.
- 안드로이드
- ios 메모리관리
- ios 메모리
- 딥러닝 첫걸음
- Cross-origin resource sharing
- 스펙트럼 분해
- 기계학습
- CORS c#
- matrix decomposition
- Property
- TENSOR
- 머신러닝
- property 속성
- OCRS
- Machine Learning
- dot syntax
- 딥러닝
- 행렬 분해
- spectral decomposition
- objective-c
- 딥러닝 책
- Objective c
- 머신러닝 책
- 아이폰 메모리 관리
- Today
- Total
One Step for A Little Progress
논문 읽는 방법. 본문
1. 논문을 읽을때는 Three-pass approach를 사용한다.
2. First pass
- 첫단계에선, 논문의 Title, Abstract, introduction을 읽는다.
- section과 sub-section의 제목을 읽고, 세부 내용은 무시한다.
- conclusion을 읽고, reference paper중에 읽은게 있는지 확인한다.
- 걸리는 시간은 10분정도
- 이때 꼭 답할 수 있어야 하는것
Category : 논문의 종류는 무엇인가?
Context : 관계된 다른 논문이 뭔지, 어떤 이론적 베이스가 필요한지?
Correctness : assumption이 valid한가?
Contributions : 이 논문의 주요 contribution이 뭔지
Clarity : 잘 쓰여진것 같은지
3. Second pass
- 두번째 단계, 자세히 읽되 증명과 같은 부분은 무시하고 넘어간다
- 수치 부분이 제대로 되어쓴지, 중요한 건지 확인하며 읽는다.
- 레퍼런스에서 읽지 않은 것을 체크한다.
- 이 단계는 한시간 정도 소요되고, 논문의 요지를 뒷받침하는 증거와 함께 요약할 수 있어야 한다.
- 필요없을거라 생각되는 논문이면 과감히 버리고, 중요한것 같은데 너무 어려우면 체크해둔 background material을 본다.
4. Third pass
- 세번째 단계에선 논문의 저자가 논문을 쓴다는 생각으로 아주 자세히 본다.
- 논문의 숨겨진 가정 혹은 저자의 의도, 그리고 한계점과 보완점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다.
- 초보자의 경우 4~5시간, 전문가는 1시간정도 소요된다.